개발(28)
-
[web.xml] listener
정의 웹 Application이 시작되거나 종료될 때 호출할 Method를 정의한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Method Override public void contextInitialized(ServletContextEvent sce) : 웹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할 때 호출 public void contextDestroyed(ServletContextEvent sce) : 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 호출. 규칙 1개 이상의 태그를 등록할 수 있으며, 각 태그는 반드시 한 개의 태그를 자식 태그로 가져야 한다. 2개 이상의 listener가 종료될 때는 아래에서 위의 순서대로 종료한다.(즉, 스택구조이다.) 2개의 listener를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때 실행 순서는 먼저 등록한 순서(위에서 아래로)이다...
2021.05.12 -
[web.xml] context-param
정의 같은 Web Application의 Servlet들이 같이 공유할 수 있는 매개변수. 사용방법 // web.xml driver com.mysql.cj.jdbc.Driver myUrl jdbc:mysql://localhost:8080/ // web.xml driver com.mysql.cj.jdbc.Driver myUrl jdbc:mysql://localhost:8080/ Context parameter의 값을 얻으려면 ServletContext 인스턴스를 사용해 getServletContext()로 해당 인스턴스를 반환받는다. ServletContext 인스턴스를 통해 getInitParameter()를 호출하면 web.xml에 선언된 context parameter의 값을 얻을 수 있다.
2021.05.12 -
[Config] Web.xml
스프링 Web이나 Servlet 위주인 웹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Web.xml을 사용하는 일이 있다. Web.xml은 Servlet맵핑을 해주거나 그 외의 것들을 해주는 작업을 하는데 Web.xml이 뭔지 알아보자. Web.xml이란? Web.xml은 Web Application의 Deployment Descriptor 즉, 배포 서술자로서 XML 형식 파일이다. 모든Web Application은 반드시 하나의 web.xml파일을 가져야 하고 위치는 WEB-INF폴더 아래에 있다. web.xml파일의 설정들은 Web Application 시작 시 메모리에 로딩이 된다. 브라우저(Chrome, Exploer 등등,,) Java Servlet에 접근하기 위해 WAS(Tomcat)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줘야 해당..
2021.05.12 -
[Spring] TypeHandler
.회사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가 된 데이터를 보았다. 소스를 쭉 보니 MyBatis를 사용한 Mapper 쪽에
2021.05.07 -
[Gradle] Gradle이란 무엇일까?
Gradle이란? Gradle은 간단하게 말하면 오픈소스 빌드 도구이다. 빌드 도구란 개발에 있어서 자동으로 빌드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Maven이나 Ant 같은 도구들 또한 마찬가지이다. Gradle은 프로젝트를 협업함에 있어서 프로젝트를 Import함에 있어서 Gradle을 빌드를 한번 함으로써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저절로 맞춰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왜 Gradle이여만 하는가? Ant, Maven 과 같은 기존의 빌드 도구들은 Xml 형식을 이용하여 정적인 설정정보를 구성했다. Gradle은 Groovy라는 언어를 이용하여 코드로서 설정 정보를 구성하기 때문에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Xml의 구조적인 틀을 벗어나 코딩에 의한 간결한 정의가 가능하다. 프로젝트를 설정 주입 ..
2021.05.03 -
[Basic] AWS EC2 만들기.
EC2 인스턴스 유형 선택 HardWare : CPU, Memory, Network, Storage SoftWare: OS, Application EC2를 만들어보자. 먼저 AWS 사이트를 들어가서 회원가입/로그인을 해보자. 로그인을 하게 되면 메인 페이지가 뜰 것이다. 메인 페이지에서 좌측 상단에 있는 서비스 버튼을 누르면 토글방식으로 이런식으로 뜨게 될 것이다. 이 많은 서비스들 중에서 우리는 EC2 를 사용 할 것이다. 먼저 AWS를 사용하기 위해 리전 우리나라로 바꾸어 보자. 리전은 자신이 배포하고자 하는 나라에 맞게 바꾸는 것이 좋다. Ex) 나는 한국에 내 웹서비스를 배포해야지! 하면 한국인 것이다. 우측 상단에 2번째 섹션을 서울로 바꾸면 된다. 이제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겠다. 인스턴스를 생..
2020.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