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AWS EC2 만들기.

2020. 10. 23. 15:36개발/[Basic]

EC2 인스턴스 유형 선택

  1. HardWare : CPU, Memory, Network, Storage
  2. SoftWare: OS, Application

EC2를 만들어보자.

먼저 AWS 사이트를 들어가서 회원가입/로그인을 해보자.

로그인을 하게 되면 메인 페이지가 뜰 것이다.

메인 페이지에서 좌측 상단에 있는 서비스 버튼을 누르면 토글방식으로

이런식으로 뜨게 될 것이다. 이 많은 서비스들 중에서 우리는 EC2 를 사용 할 것이다.

먼저 AWS를 사용하기 위해 리전 우리나라로 바꾸어 보자.

리전은 자신이 배포하고자 하는 나라에 맞게 바꾸는 것이 좋다.

Ex) 나는 한국에 내 웹서비스를 배포해야지! 하면 한국인 것이다.

우측 상단에 2번째 섹션을 서울로 바꾸면 된다.

우측 상단에 2번째 섹션을 서울로 바꾸면 된다.

이제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겠다.

  • 인스턴스를 생성하겠다는 말은 그냥 컴퓨터 하나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쉽다.

왼쪽 네비게이션에서 인스턴스-인스턴스를 누른 후 나타나는 섹션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1. AMI 선택 ( 운영체제를 고르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나는 Ubuntu 를 사용 했다. )

  1. 인스턴스 유형 선택 ( Cpu, Memory 등을 설정 하는 곳 )

  1. 인스턴스 구성 ( 네트워크나 인스턴스의 갯수를 정한다. )

네트워크에 능통하다면 설정하겠지만.. 나는 그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default값을 사용했다.

  1. 스토리지 추가

Test 버전이기 때문에 그냥 default 값 사용

  1. 태그 추가

자신의 서버를 설명하는 태그를 다는 곳이다.

  1. 보안 그룹 구성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가 어떠한 프로토콜을 사용 할 것이고 그 프로토콜을 누가 쓸 수 있는지에 대한 설정을 하는 곳이다.

만든 서버 제어 해보기.

이 부분은 밑에 나와 있는 자료를 참조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나는 Putty와 Filezilla를 사용해 서버에 내 코드들을 올리곤 했ㄷㅏ.

참고 자료 : https://opentutorials.org/module/1946

'개발 >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dle] Gradle이란 무엇일까?  (0) 2021.05.03
[Basic] Mock Object  (0) 2020.07.23
[Basic] 개발 Know 로드맵  (0) 2020.07.18
[Basic] OCP 개방 폐쇄 원칙  (0) 2020.07.06
[Basic] 테스팅 프레임워크 JUnit  (0) 2020.06.29